특정수질유해물질(2)
-
특정수질유해물질 시료채취방법
안녕하세요 다들 업무 하신다고 고생 많으십니다. 오늘은 특정수질유해물질 32종 관련하여 수질오염공정시험기준에 적합한 Sample 병 선택과 Preservatives(보존제)에 대해서 소개를 드리고자 합니다. 우선 Sample bottles 입니다. 특정수질유해물질 32종 관련 항목에 대한 샘플 채취 방법이 모두 같지는 않아서 항목에 대한 샘플병을 잘 골라야 합니다. 수질오염공정시험기준에 보면 각각의 시료에 대한 시료병, 보존제 정보가 존재합니다. 시료를 정확하게 채취해야 결과 값도 정확하겠죠? 1L 멸균(무균)채수병 일반적으로 1L 멸균(무균)채수병을 많이 사용합니다. 시료가 온도를 제외한 외부 환경에 대한 영향이 없을 때 주로 사용합니다. 1L 갈색 유리병 갈색 시료 병을 주로 사용하는 이유는 빛의 차..
2019.09.05 -
특정수질유해물질 배출량 조사
안녕하세요 오늘은 특정수질유해물질 32종 배출량 조사 관련 패수배출시설 적용기준 및 자료입력 소개를 하려고 합니다! 아래는 특정수질유해물질의 항목 및 기준 농도입니다. 아래 사진 및 링크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http://wems.nier.go.kr/swems/intro/selectIntroM004.do ::특정수질유해물질배출량조사시스템:: 특정수질유해물질 폐수배출시설 적용기준 (제 35조의 2 관련) NO 물질명 기준농도(mg/L) 1 구리와 그 화합물 0.1 2 납과 그 화합물 0.01 3 비소와 그 화합물 0.01 4 수은과 그 화합물 0.001 5 시안화합물 0.01 6 유기인 화합물 0.0005 7 6가크롬 화합물 0.05 8 카드뮴과 그 화합물 0.005 9 테라클로로에틸렌 0.01 10 트리..
2019.09.05